구강 음식은 구강을 통해 위장관으로 들어간다. 구강은 음식물과 수분을 섭취하는 통로이며, 미각을 느끼게 하는 수용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구강의 상부는 연구개와 정구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강의 저부는 혀, 근육, 3쌍의 침샘인 설하선, 악하선, 이하선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구조들은 점막으로 덮여 있으며, 혀에는 미뢰를 포함해 유두라고 불리는 작은 돌기가 있습니다. 구강에는 성인의 경우 대개 28개의 치아와 2쌍의 사랑니가 있습니다. 타액은 대부분 3쌍의 침샘에서 분비됩니다. 정상 성인은 하루 1,000~1,500ml 의 타액을 분비합니다. 정신적 자극, 후각 자극, 기계적 자극 등에 타액이 분비됩니다. 타액은 신경의 조건 반사와 무조건 반사로 분비하며, 타액반사의 중추는 연수에 있습니다. 타액은 음식물을..
간호 진단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간호 중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산소화 증진 쇼크 환자에게 적절한 산화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합병증의 조기 발견과 산-염기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15-30분마다 호흡 횟수, 깊이, 리듬을 평가합니다. 호흡 횟수와 깊이가 증가하면 대사성 산독증을 교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호흡음은 수액 과다 공급, 분비물 축적이 우려되는 동안에는 1-2시간마다 평가합니다. 산소포화도를 평가합니다. 쇼크가 진전되면 환자의 손가락, 발가락의 말초 순환이 불량하기 때문에 산소포화도 측정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probe를 코, 귀, 앞이마에 할 수 있습니다. 동맥혈가스분석 검사는 환기와 산화상태, 산-염기 상태를 정확히 알려줍니다. paO2가 60mmHg 이하가..
쇼크의 종류에 따른 증상 1) 저혈량 쇼크 초기에는 순환 혈액량을 유지하기 위해 소듐과 수분을 재흡수하여 소변의 삼투압과 비중이 증가합니다. 그러나 저혈량 쇼크가 진행되면 신장의 소듐과 수분 재흡수 능력이 저하되면서 소변 삼투압과 비중은 감소합니다. 교감신경계의 자극으로 발한이 생기며, 이 발한으로 불감성 체액 소실이 많아지고 저혈량과 체온 불안정을 초래합니다. 또한 교감신경계 자극으로 맥박과 호흡수가 빨라지고, 피부 혈액순환이 감소하여 피부가 차고 축축하며 창백해집니다. 2) 심인성 쇼크 심근 작용의 손상 또는 기계적 폐색으로 인해 심인성 쇼크가 나타나면 심박출량이 줄어들고 혈액의 역류 현상이 나타납니다. 우심부전으로 인한 쇼크가 발생하면 경정맥 정체와 중심정맥압이 증가합니다. 좌심부전으로 인한 쇼크 ..
쇼크의 일반 증상 쇼크 증상은 대부분 보상 기전의 진행에 의해 나타납니다. 보상 기전은 주요 기관에 적절한 혈류를 유지하기 위한 생리적인 반응입니다. 쇼크의 초기 증상은 주로 심혈관계 기능의 변화로 인한 것이고, 다음으로 신장, 호흡기계, 피부계, 근골격계, 중추신경계 증상이 나타납니다. 호흡기계 조직 관류의 감소로 빠르고 얕은 호흡이 나타납니다. 산소의 운반이 감소하면서 호흡수가 증가하고, 심해지면 저산소증과 호흡성 알칼리증이 나타납니다. 쇼크가 진행되어 젖산성 산증이 나타나면 호흡수와 함께 호흡의 깊이가 증가합니다. 쇼크와 함께 좌심실부전이 동반되면 폐부종이 나타나 호흡곤란과 청진시 비정상적인 수포음을 들을 수 있습니다. 심혈관계 혈액 순환량이 감소하면 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빈맥이 나타납니다. 쇼크의..
쇼크는 순환이 부적절해 발생하는 신체의 세포와 조직이 대사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여 조직의 기능에 장애가 오고, 심하면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으로 진전될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조직의 산소화는 동맥관류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평균 동맥압과 관련이 있습니다. 평균 동맥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전체 순환혈량, 심박출량, 혈관의 크기입니다. 전체 순환혈량과 심박출량이 감소하거나 혈관이 이완되는 등 이 중 한 가지만 변해도 평균 동맥압이 감소하여서 조직 혈류가 감소합니다. 조직에 혈류가 충분하지 못하면 세포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감소하여 조직의 기능장애가 옵니다. 즉 쇼크가 나타납니다. 쇼크에 대한 보상 기전이나 중재가 효과적이지 못하면 쇼크가 진행되어 다기관 기능부전 증후군을 일으키거나 사망..